앙꼬코인

Search
Close this search box.

배려의 미덕

이기적 유전자’ 라는 책을 써서 세계적인 작가로 유명해진 “리처드 도킨스”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남을 먼저 배려하고 보호하면 그 남이 결국 내가 된다.”

“서로를 지켜주고 함께 협력하는 것은 내 몸 속의 유전자를 지키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弱肉强食(약육강식)에서 이긴 유전자만이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상부상조 또는 상호부조한 ‘종’이 더 우수한 형태의 유전자로 살아남는다는 것이
도킨스의 주장입니다.

利己心(이기심)보다는 利他心(이타심), 즉 내가 잘 살기 위해서는 남을 도와야 하며, 서로 돕는 것이 모두가 잘 살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는
논리입니다.

자기 자신만 생각하고 모든 것을 자기 이익에 귀착시키는 사람은 결코 행복할 수 없지요.
진정으로 자신을 위하여 살려면 ‘녹명’처럼
이웃을 위하여 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사슴 鹿(록)에 울 鳴(명)’ 즉, 먹이를 발견한 사슴이 다른 배고픈 동료 사슴들을 부르기 위해 내는 울음소리입니다.

이 소리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동물의 울음소리로 들립니다.

수많은 동물 중에서 사슴만이 먹이를 발견하면 함께 먹자고 동료를 부르기 위해 아름다운 소리를 내어 부른다고 합니다.
 
여느 짐승들은 먹이를 발견하면 혼자 먹고 남는 것은 숨기기 급급한데, 사슴은 울음소리를 높여 동료를 불러 모아서 함께 나눕니다.
 
‘녹명’은 詩經(시경)에도 등장합니다. 
시경에서는 사슴 무리가 평화롭게 울며 풀을 뜯는 풍경을 어진 신하들과 임금이 함께 어울리는 것에 비유합니다. 
 
녹명은 홀로 사는 것이 아니라 함께 살고자 하는 따뜻한 마음이 담겨져 있는 아름다운 단어입니다.

녹명처럼 “꽃보다 아름다운 사람”이 되고자 한다면 남을 배려하고 소중히 여기며 가진것을 나누면 됩니다.

특히 4차 산업시대에 들어와서 ESG(ENVIRONMENT.SOCIETY.GOVERNANCE)의 개념, 즉 자신보다는 남과 주위환경을
우선하는 사고와 태도가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펌)

+3

로그인 하시고
하트를 보내세용

AD

Log in, leave a comment and earn ANKO
로그인해서 댓글 달고 ANKO 버세요.

Subscribe
Notify of
2 💬
좋아요 순
최신순 오래된순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