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꼬코인

Search
Close this search box.

LaMertrans1

Hello !

ANKO(now) : 174001250🪙

(total) : 172858913🪙

크립토 대출 업체 레든, 케이맨제도 부동산 매매 지원 BTC 담보 대출 출시

더블록에 따르면 캐나다 소재 암호화폐 대출 기관 레든(Ledn)이 케이맨제도 부동산 매매를 위한 BTC 담보 대출 상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레든은 “케이맨 제도는 현지 부동산에 240만 달러 이상을 투자한 투자자에 영주권 취득 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레든 BTC 담보 대출을 통해 케이맨 제도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자율은 연 12.9%이며, 해당 대출 제공을 위해 케이맨제도 암호화폐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블랙록, 현물 ETF 상장 전까지 BTC 매집 가능성 낮아”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는 “블랙록은 BTC 현물 ETF와 관련해 BTC에 수억 달러를 투자할리 없다. 이들은 펀드가 상장되기 하루 정도 전에(출시된다고 가정 시) 펀드 시딩(매수)을 할 것이다. 그 규모는 50만달러에서 수백만달러가 될 수 있다. 한 마디로 블랙록은 ETF 상장 전에는 BTC를 쌓아놓지 않을 것이다. (중략) ETF 상장 후 펀드에 새로 유입되는 달러는 BTC 매수로 이어지게

미 법원, 그레이스케일 BTC 현물 ETF 전환 소송 오늘도 미판결

그레이스케일 최고법률책임자 크레이그 살름(Craig Salm)이 X(구 트위터)를 통해 “그레이스케일이 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를 상대로 제기한 GBTC의 BTC 현물 ETF 전환 소송 판결이 오늘도 나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당초 업계 안팎에선 오늘 법원이 결정을 내릴 것이란 전망이 있었다. 앞서 법원이 지난 18일 판결을 내릴 것으로 예상됐으나 당시에도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https://coinness.com/

애널리스트 “6개월 내 그레이스케일 BTC 현물 ETF 전환할 확률 상승”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가 X(구 트위터)를 통해 “향후 6개월 이내 그레이스케일의 GBTC가 BTC 현물 ETF로 전환될 확률이 지난 6월 이후 급격하게 상승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그는 알라메다 리서치가 그레이스케일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에 일부 그레이스케일 BTC, ETH 신탁 투자기관이 참여한다는 FTX의 트윗을 리트윗했다. https://coinness.com/

폭스비즈니스 기자 “美 SEC, ‘디지털 자산 자체로 증권은 아니다’ 인정”

폭스비즈니스 기자 엘리노어 테렛(Eleanor Terrett)이 오늘 새벽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법원에 제출한 중간항소 신청서를 인용해 “SEC가 이전과 달리 디지털 자산은 본질적으로 증권이 아니라는 사실을 인정했다”고 X(구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SEC는 신청서에서 “우리는 리플 랩스, 그리고 테라폼랩스와의 소송 과정에서 투자계약의 기초가 되는 모든 자산이 반드시 증권에 해당한다고 주장하지 않았다. 이 사건의 기초자산이 내재적 가치가 없는 컴퓨터 코드에 불과하다는 법원

폭스비즈니스 기자 “美 SEC, ‘디지털 자산 자체로 증권은 아니다’ 인정”

폭스비즈니스 기자 엘리노어 테렛(Eleanor Terrett)이 오늘 새벽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법원에 제출한 중간항소 신청서를 인용해 “SEC가 이전과 달리 디지털 자산은 본질적으로 증권이 아니라는 사실을 인정했다”고 X(구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SEC는 신청서에서 “우리는 리플 랩스, 그리고 테라폼랩스와의 소송 과정에서 투자계약의 기초가 되는 모든 자산이 반드시 증권에 해당한다고 주장하지 않았다. 이 사건의 기초자산이 내재적 가치가 없는 컴퓨터 코드에 불과하다는 법원

JP모건 “BTC 채굴기업, 경쟁 심화에 AI 등 사업 모델 다각화”

더블록에 따르면 JP모건이 보고서를 통해 “비트코인 채굴기업들 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이들이 사업 모델을 다각화 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채굴자들은 올해 들어 일부 BTC를 매각하고 대신 인공지능(AI) 시장에 고성능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인공지능의 기계학습을 위해서는 고성능 컴퓨터 칩이 필요하다는 점을 활용한 것이다. 미국 암호화폐 채굴업체 어플라이드 디지털(Applied Digital, APL)도 지난 6월 최대 4.6억 달러 규모의 AI 클라우드

톰리 “BTC 현물 ETF 승인 시 $15만 이상 가격도 가능”

더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미국 월가의 시장조사업체인 펀드스트랫(Fundstrat Global Advisors)의 창업자인 톰리(Tom Lee)가 CNBC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를 승인한다면 BTC 가격은 15만 달러에서 18만 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 승인 여부는 향후 비트코인 가격에 결정적인 재료로 쓰일 수 있다. ETF가 출시되면 비트코인 시장 수요는 일일 공급량을 상회할

GSR CEO “임원 줄퇴사 보도는 악의적”

더블록이 암호화폐 마켓메이커 GSR에서 작년 말부터 주요 임원들이 줄줄이 퇴사하고 있다고 보도한 가운데 리치 로젠블럼(Rich Rosenblum) GSR 최고경영자(CEO)가 트위터를 통해 ‘악의적 보도’라며 반박했다. 그는 “우리는 더블록 취재에 최선을 다해 응대했으나 그들은 애초부터 악의적 보도를 할 목적이었던 것같다. 우리는 외부 자금 조달 없이도 3번의 약세장을 견뎌왔고 현재 사업 구조도 여전히 탄탄하다.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고

외신 “SEC, 비트코인 현물 ETF 심사 기한 내년 초까지 연기 가능”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비트코인 현물 ETF 심사 기한은 내년 초까지 연기할 수 있다. 그들은 ETF 심사 기한을 최대 240일까지 연기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했다. 오래 7월에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 신청을 제출한 기업의 경우 내년 3월 심사 결과를 들을 수도 있다”고 15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가장 빨리 심사 결과를 받게되는 자산운용사는

외신 “코인데스크, 편집부 직원 45% 해고”

크립토 뉴스, 마켓 인사이트 플랫폼 언폴디드(Unfolded)가 트위터를 통해 “암호화폐 미디어 코인데스크가 회사 매각을 고려해 편집부 직원의 45%를 해고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더블록은 “코인데스크는 14일(현지시간) 정리해고를 발표했다. 이에 대해 케빈 워스 코인데스크 CEO는 전체 회의를 통해 재정적으로 건전한 사업을 위한 매각 성사에 필요한 단계였다고 설명했다. 편집부 45%는 20명인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코인데스크는 미국 암호화폐 대기업 디지털커런시그룹(DCG)의

[설문조사] 국내 투자자 암호화폐 선택 기준,’백서·투자사’ 본다

코인니스와 크라토스가 공동 진행하고 있는 주간 국내 투자자 시장 동향 정기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8.5%(전주 38.9%)가 다음주 비트코인이 상승 또는 급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락 또는 급락할 것으로 예측한 응답자 비율은 19.6%(전주 20%)로 나타났다. 지난 2주 조사 당시와 거의 유사한 결과다. 시장에 대한 심리를 묻는 질문에는 55%가 중립이라고 답했다. 낙관 또는 극단적 낙관이라고 답한 비중은 27.9%로

온체인 분석 업체 “$1000만 육박 코인 스스로 소각 ‘nd4.eth’ 정체, 업계가 함께 밝히자”

온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제로스코프가 최근 대량의 암호화폐를 스스로 소각하고 있는 암호화폐 월렛 nd4.eth의 정체를 밝혀야 하며, 이를 위해 업계 관계자들이 협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제로스코프는 “nd4.eth의 입금 주소에는 KYC가 필요로 하는 거래소 2곳이 포함되어 있다”며 nd4.eth의 정체를 밝힐 수 있는 자료를 업로드했다. 업체는 또한 “그가 루나 사태로 인해 손실을 입었을 수 있고, 무언가 더 깊은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미 SEC BTC 현물 ETF 심사 연장 통보”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예상대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21쉐어스&아크인베스트의 비트코인 현물 ETF 심사기간 연장 레터를 받았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심사기간은 90일(11월 11일 현지시간) 연장됐다. SEC, 아크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 제안 의견 관련 검토 확대 크립토 뉴스 채널 db가 트위터를 통해 “SEC가 아크의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 제안 의견을 수렴 및 검토를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SEC, 금요일 장 마감 후 BTC 현물 ETF 심사 결과 발표 예상”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가 “SEC의 다음 비트코인 현물 ETF(21쉐어스&아크인베스트의 ARKB) 심사 마감일은 8월 13일(미국시간)이다. 일요일이므로 금요일까지는 결정이 내려질 것으로 보인다. 금요일 장 마감 후 발표될 것 같다. 하지만 심사 기간 연장 가능성이 높다”고 트윗했다. https://coinness.com/

美 법원, 내년 2분기 SEC-리플 배심원 참여 재판 진행 예고

리플(XRP)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간의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을 지속적으로 추적해온 미국 연방 검사 출신 변호사 제임스 K. 필란(James K. Filan)에 따르면, 해당 소송의 담당 판사 아날리사 토레스(Analisa Torres)가 9일(현지시간) 오는 2024년 2분기 배심원이 동원되는 국민참여재판을 진행하겠다며 원고와 피고 측의 일정 조율 명령을 내렸다. 앞서 판사는 XRP 토큰의 증권성 판단 여부에 대한 약식 판결을 내린 뒤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BTC 현물 ETF 출시 승인, 4~6개월 내 결론 전망”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 에릭 발츄나스(Eric Balchunas)가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를 위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신청서를 제출한 갤럭시디지털의 최고경영자(CEO) 마이크 노보그라츠가 오늘 실적발표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은 4~6개월 내로 결론이 날 것이라고 말했다.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블랙록, 인베스코 측 관계자도 ETF 출시를 가능·불가능이 아닌 시점의 문제(When, not if)라고 강조했다”고 트위터를 통해 전했다.

포브스 “테더, 2분기 실적서 순익 미보고”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USDT 발행사 테더(Tether)가 지난주 발표한 2분기 실적에서 순익을 발표하지 않았다고 포브스가 보도했다. 포브스는 “테더는 지난주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이 기간 10억 달러 이상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며, 이는 전 분기 대비 30% 증가한 수치라고 밝힌 바 있다. 지난 1분기와 지난해 4분기 실적 보고에서는 순익을 각각 14억8000만 달러, 7억 달러라고 보고했는데, 이번엔 순익에 대한 언급은

[설문조사] 제자리 걸음하는 국내 암호화폐 투자 심리..관망세 확산

코인니스와 크라토스가 공동 진행하고 있는 주간 국내 투자자 시장 동향 정기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8.9%(전주 40.1%)가 다음주 비트코인이 상승 또는 급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락 또는 급락할 것으로 예측한 응답자 비율은 20.1%(전주 20%)로 나타났다. 직전 주 조사 당시와 거의 유사한 결과다. 시장에 대한 심리를 묻는 질문에는 52.8%가 중립이라고 답했다. 낙관 또는 극단적 낙관이라고 답한 비중은 29.6%로

외신 “中 공안, 다수 역외 암호화폐 거래소 임원 구속 수사 중”

중국계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우블록체인이 “최근 중국 공안(경찰)이 불법 도박 사이트에 결제 및 정산 서비스를 제공한 혐의로 다수의 역외 암호화폐 거래소 임원(CTO, CHO 등)들을 구속해 조사하고 있다”고 단독 보도했다. 이어 우블록체인은 “한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역외 거래소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이체된 온라인 도박 자금은 76억 USDT 이상 규모다. 다수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 설립자는 두바이나 싱가포르에 거주

분석 “골드만삭스 등 글로벌 IB, 코인베이스 호실적에도 평가 신중”

코인베이스가 예상치를 웃도는 2분기 매출을 보여줬지만 골드만삭스, BofA(뱅크오브아메리카), JP모건, 바클레이즈 등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여전히 신중한 모습을 견지하고 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골드만삭스는 애널리스트 윌 낸스는 “암호화폐가 대중화되기 전까지 (코인베이스) 펀더먼털은 계속 테스트될 것”이라고 말했다. 코인베이스 12개월 목표주가는 45달러에서 51달러로 상향했지만 투자등급은 ‘매도’를 유지했다. BofA는 “2분기 실적은 긍정적이었으나 수익 다각화에 대한 주요 이슈는 다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고 JP모건은

美 SEC, 암호화폐 스캠 ‘DEBT 박스’ 불법 조달 $5,000만 동결 조치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3일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미국 유타주 드레이퍼 지역에서 ‘DEPT 박스’라는 사업을 영위 중인 ‘디지털 라이센싱'(Digital Licensing Inc)과 업체의 경영진, 사기 행위에 연루된 18 명의 피고와 관련된 임시 자산 동결 등 조치를 내렸다”고 3일 발표했다. 이와 관련 SEC는 “지난 2021년 3월 이들은 미등록 증권인 ‘노드 라이선스’를 판매하기 위해 수백 개의 동영상, 소셜 미디어 게시물,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BTC 현물 ETF 승인 확률 65%로 상향”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소속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가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확률을 65%로 상향 조정했다고 트윗했다. 이는 몇 주 전 50%, 몇 달 전 1%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다. 세이파트는 이어 “비트코인 현물 ETF를 신청한 8곳과 그레이스케일(GBTC→현물 ETF 전환)에 대해 동시 승인하는 것이 가장 저항이 적은 루트일 것이다. 핵심은 연방법원에서 그레이스케일이 SEC(증권거래위원회)에 승소하는 것이다. 4분기에 ETF가

리플 CTO “’미 판사 ‘리플-SEC 판결’ 반박 입장, 테라폼랩스 한해 적용”

테라폼랩스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간 소송을 맡은 미국 뉴욕 남부법원 판사 제드 라코프(Jed Rakoff)가 리플-SEC 소송 판결을 반박한 것과 관련, 리플(XRP) 최고기술책임자(CTO) 데이비드 슈워츠(David Schwartz)가 트위터를 통해 “라코프 판사의 입장은 암호화폐 업계 전반이 아닌, 테라폼랩스 사태라는 특이한 케이스에 한해 적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법원은 두 사건 간 사실관계 차이를 근거로 이 같은 입장을 밝힌 것으로 보이며, 단순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