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꼬코인

Search
Close this search box.

LaMertrans1

Hello !

ANKO(now) : 174001250🪙

(total) : 172858913🪙

이번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

이번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은 다음과 같다. (한국시간 기준) -10/16 23:30 FOMC 멤버 하커 연설 -10/17 05:30 FOMC 멤버 하커 연설, 09:30 호주중앙은행(RBA) 통화정책회의록 발표, 21:30 미국 근원 소매판매 22:20 FOMC 멤버 보우먼 연설, 23:45 FOMC 멤버 바킨 연설 -10/18 11:00 중국 3분기 국내총생산(GDP), 18:00 유로존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총재 연설, 23:30 미국 원유재고 -10/19

[설문조사] 국내 투자자 54.7%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암호화폐 시장 악재”

코인니스와 크라토스가 공동 진행하고 있는 주간 국내 투자자 시장 동향 정기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1.1%(전주 45.1%)가 다음주 비트코인이 상승 또는 급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횡보를 예상한 응답자는 약 37.2%(전주 32.5%), 하락과 급락을 예상한 응답자는 약 18.3%(전주 17.3%)를 차지했다. 시장에 대한 심리를 묻는 질문에는 44.7%가 중립이라고 답했다. 낙관 또는 극단적 낙관이라고 답한 비중은 30.5%로 전주 대비 4.3%p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1월 10일까지 BTC 현물 ETF 승인될 확률, 90%”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가 X(구 트위터)에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 에릭 발츄나스(Eric Balchunas)와 나눈 메모를 공유하며 “SEC와 아크(Ark), 21쉐어스(21Shares) 사이에 건설적인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는 90% 확률로 1월 10일까지 아크의 BTC 현물 ETF가 승인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 에릭 발츄나스(Eric Balchunas)는 12일 아크인베스트먼트가 비트코인 현물 ETF 투자설명서 수정본을 미국

분석 “BTC, 네트워크 활동성 줄고 손바뀜 없었지만 펀더멘털 건재”

크립토퀀트 기고자 맥디(MAC_D)가 “암호화폐 시장 신규 자금 유입과 유동성, 변동성이 줄어들면서 비트코인 네트워크 활동성은 줄었지만 해시레이트와 채굴 난이도는 여전히 건재하다“고 분석했다. 이어 “BTC 활성 주소 수와 트랜잭션은 지난 5월 오디널스 영향으로 크게 늘었지만 9월 19일 이후 다시 감소했다. 이동한 총 BTC 수를 보면 의미있는 손바뀜이 발생되지는 않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큰 가격 변동도

분석 “BTC 단기 보유자들, 소폭 손실 중”

크립토퀀트 기고자 AxelAdlerJr가 “최근 비트코인 단기 보유자(STH)의 NUPL(유통량 대비 자산의 순손익을 측정한 BTC 미실현 순손익)이 0 아래로 소폭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NUPL 지표가 0보다 크면 STH는 코인을 매도해 수익을 실현할 수 있다는 뜻이지만, 현재 시장가는 STH들의 BTC 매수 평단가보다 낮다. 다만 최근 수일 동안 STH들의 NUPL은 0에 가까워지고 있으며, 11일 기준 -0.024에 머물고

SBF 변호인, 법원에 ‘앤트로픽 투자 성공 사례’ 증거 채택 승인 요청

더블록에 따르면, FTX 파산 관련 사기 등 혐의로 형사재판을 진행 중인 샘 뱅크먼 프리드(SBF) 창업자의 변호인이 최근 법원에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에 대한 SBF의 투자와 관련된 자료를 증거로 채택하는 것을 승인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와 관련 SBF 측은 “지난주 검찰의 ‘SBF의 앤트로픽 투자금은 고객 자금을 유용한 것이기 때문에 수익 여부를 떠나 범죄에 해당한다’는 주장은 증거 자체의 연관성을 잘못

디파이 애그리게이터 인스타댑, 내년 대출 프로토콜 출시 예정

더블록에 따르면 디파이 애그리게이터 플랫폼 인스타댑(InstaDapp)이 플루이드(Fluid)라는 이름의 대출 프로토콜을 출시할 예정이다. 인스타댑은 “플루이드는 디파이에서 자주 발생하는 유동성 단편화 문제 해결을 목표로 1년 6개월간 개발됐다. 아베, 컴파운드, 유니스왑, 메이커, 커브의 모든 기능을 통합한 프로토콜이라고 볼 수 있다. 현재 플루이드는 테스트 단계에 있으며, 12월 버그 바운티를 거쳐 내년 1월 정식 출시할 계획이다”라고 설명했다. https://coinness.com/

아담 코크란 “MSTR, BTC 2만 달러 반납 시 부도 가능성 높아”

블록체인 투자사 시니암하인벤처스(Cinneamhain Ventures)의 파트너 애널리스트인 아담 코크란(Adam Cochran)이 X(구 트위터)를 통해 “만약 비트코인이 연말까지 강세를 보이지 않거나 다시 20,000 달러 아래로 떨어질 경우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는 부도(folds)가 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이와 관련 그는 “MSTR은 2025년 만기 전환사채와 풀포워드(일정 앞당기기) 조항이 있는 2028년 만기 전환사채를 부채로 갖고 있다. 2025년 전환사채를 상환하지 못한다면 해당 CB는 7.25억 달러

분석 “암호화폐 투자시 월간 수익률 차이는 중요치 않아…장기적 관점 접근 필요”

디크립트에 따르면 암호화폐 마켓 전문 뉴스레터 플랫폼 이코이노메트릭스(Ecoinometrics)가 “암호화폐 투자에 있어 강세장과 약세장에 따른 수익률 차이는 크지 않다”고 분석했다. 이코이노메트릭스는 “강세장과 약세장 사이의 월간 수익률 차이는 무시할 수 있다. 시장에서 장기적 투자가 타이밍 투자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뉴욕 소재 투자운용사 윌셔피닉스(Wilshire Phoenix)의 공동 창업자인 윌리엄 카이(William Cai) 또한 “역사적으로 시장 타이밍에 맞춘 투자는 장기적으로

미 법무부, SBF 재판 다음 증인으로 알라메다 리서치 전 CEO 소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법무부(DOJ)가 샘 뱅크먼 프리드(SBF) FTX 창업자의 사기 혐의 재판에 그의 전 여자친구이자 FTX 관계사인 알라메다 리서치(Alameda Research)의 전 최고경영자(CEO) 캐롤라인 엘리슨(Caroline Ellison)을 증인으로 소환할 예정이다. 앞서 FTX 공동 창업자이자 전 최고기술책임자(CTO) 개리 왕(Gary Wang)은 “SBF로부터 알라메다 리서치의 계정이 FTX에서 절대 청산되지 않도록 하는 코드를 작성하라는 지시를 받았고, 알라메다의 계정 잔액은 ‘마이너스가 허용되며 0으로 표시된다’는 특혜성 코드를 작성했다”고 증언한

서베이 “암호화폐 투자자 50%, ‘생활 수준 향상’ 위해 암호화폐 투자”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겟이 최근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약 50%의 응답자가 ‘생활 수준 향상’을 위해 디지털 자산(암호화폐)에 투자하고 있다고 답했다. 해당 설문조사는 비트겟을 사용하는 20개국 1,500명 이상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그중 한국 투자자의 46%, 캐나다 투자자의 44%, 터키 투자자의 41%가 암호화폐 투자 목적으로 생활 수준 향상을 꼽았으며, 말레이시아 및 대만 응답자의 약 36%는 가족의 삶의

블랙록 출신 CEO “3~6개월 내 BTC 현물 ETF 승인 전망”

디크립트에 따르면 블랙록 매니징 디렉터 출신 마켓벡터 인덱시스(MarketVector Indexes) CEO 스티븐 쇼엔필드는 미국 SEC(증권거래위원회)가 3~6개월 내에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를 승인할 것이라고 런던에서 열린 CCData 디지털애셋서밋에서 밝혔다. 그는 “최근 SEC가 여러 비트코인 현물 ETF를 반려하는 대신 코멘트(의견)를 요청했다. 미미하지만 소통 면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룬 셈이다. 또 그레이스케일 소송에서 SEC가 패소했기 때문에 GBTC의 ETF 전환을 허용해야

로이터 “SEC, 법원에 코인베이스 소송 기각 신청 기각 요청”

로이터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3일(현지시간) 법원에 코인베이스의 소송 기각 신청을 기각해달라고 요청했다. SEC는 지난 6월 코인베이스를 미등록 거래소 운영 혐의로 기소했으며, 코인베이스는 지난 8월 해당 소송을 기각해달라는 신청서를 제출한 바 있다. 美 법무부, SBF 재판서 FTX 전직 임원 증언 요구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법무부(DOJ)가 FTX 설립자 샘 뱅크먼 프리드(SBF)의 형사 재판에서 FTX 전직 임원들의 증언을

보고서 “2017년부터 올 9월까지 가장 활동적인 VC는 코인베이스 벤처스”

코인게코가 자체 보고서를 통해 “2017년부터 2023년 9월 21일까지 가장 활동적인 암호화폐 벤처캐피털(VC) 23곳을 조사한 결과, 1위는 372건을 투자한 코인베이스 벤처스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코인베이스는 초기 단계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경향을 띄었으며, 144건은 프리 시드 라운드·199건은 초기 VC 단계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기간 동안 23곳 VC들이 투자한 건수는 총 4,346건이었다. https://coinness.com/

외신 “BTC, 2016년 이래 최고의 9월 기록”

코인텔레그래프가 코인글래스 데이터를 인용해 “비트코인은 2016년 이후 최고의 9월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BTC는 2013년 이래 지나온 11번의 9월 중 8번은 하락을 기록했다. 9월 상승을 기록한 연도는 2015년과 2016년, 2023년(현재까지 3.92%)이다. 2016년에는 6.04% 상승으로 월봉을 마감했다. 시장이 상승세인 한편 온체인 분석업체 머티리얼 인디케이터(Material Indicators)는 “BTC는 미국 정부 셧다운 임박 와중 일봉 기준 교과서적인 약세 신호를

SEC “권도형, 신현성과 나눈 메신저 대화서 ‘가짜 트랜잭션’ 직접 언급”

디크립트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최근 법원에 제출한 자료를 통해 “권도형 테라폼랩스 전 대표는 테라폼랩스 공동 창업자인 신현성 전 차이코퍼레이션 대표와의 메신저 대화에서 ‘진짜처럼 보이는 가짜 트랜잭션을 만들면 수수료를 발생시킬 수 있다’고 직접 언급했다. 이는 그가 블록체인 상의 거래량 위조에 직접 가담했다는 것을 인정한 증거”라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SEC는 “신현성 전 차이 대표는 해당 대화에서 ‘사람들이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44… 공포 단계 유지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에 비해 2 포인트 내린 44를 기록했다. 공포 단계가 유지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https://coinness.com/

스테이블코인 평가사 블루칩 “아베 GHO, 페깅 회복 실패 가능성 높아”

블록웍스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리서치 업체 블루칩의 레이팅 디렉터인 베이디야 팔라세나(Vaidya Pallasena)가 “아베 DAO가 프로토콜 자체 발행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의 GHO 디페깅 이슈 해결을 위해 복수의 거버넌스 제안을 채택하고 있으나 모두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그는 “현재 시스템에서는 GHO 페깅을 유지할 수 없다. 유일한 해결책은 1달러에 1GHO를 발행(대출)한 대출자들이 디페깅으로 1달러를 하회하고 있는 GHO를 사서 대출을

분석 “ETH 선물 펀딩비 마이너스 전환… 추가 하락 가능성”

온체인 데이터 분석 사이트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그레이티스트트레이더'(Greatest Trader) 기고자가 “최근 주요 거래소내 이더리움(ETH) 무기한 선물 시장 내 펀딩비율이 마이넌스로 전환됐다. 펀딩 비율은 무기한 선물 시장 내 트레이더 심리를 반영하며, 마이너스 수치는 약세 심리를 나타낸다. 따라서 최근 선물 트레이더들의 이더리움 가격 전망은 부정적이며, 추가 하락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 다만 마이너스 펀딩비율이 지속되면 숏 스퀴즈가 연쇄적으로 발생할 수

前 백악관 커뮤니티 총괄 “향후 20년 비트코인 강세 전망..주류 될 것”

스카이브릿지 캐피탈의 창업자이자 전 백악관 커뮤니케이션 총괄인 앤서니 스카라무치가 메사리 메인넷 컨퍼런스에서 “여전히 비트코인의 강세를 전망한다”며 “투자자들은 비트코인을 팔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 세대가 인터넷을 메인 스트림으로 만들었듯이 젊은이들이 비트코인을 주류로 만들 것이다. 향후 10~20년 비트코인은 강세를 나타낼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그는 또한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가 향후 광범위한 비트코인 채택을 견인 할 것으로 내다봤다.

더블록 편집장 “韓, 주식·부동산 대신 암호화폐에 열광”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블록의 편집장 프랭크 차파로(Frank Chaparro)가 “최근 아시아에서 열린 컨퍼런스 참석자들로부터 ‘한국인들이 암호화폐에 열광하고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전했다. 그는 “한국인들은 부동산이나 기업 주식 등 전통 자산을 손에 넣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반면 암호화폐는 부를 쌓을 수 있는 창구라고 인식하고 있다. 한국의 거대한 암호화폐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현지 기업들과 손을 잡는 기관 투자자들도 적지 않다”고 강조했다. https://coinness.com/

코인베이스 CLO “베이스 체인, 토큰 발행 가능성 배제 못해”

우블록체인은 디크립트 인터뷰 비디오를 인용, 코인베이스의 최고법률책임자(CLO)인 폴 그레왈(Paul Grewal)이 “베이스 체인 토큰 발행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한 것은 아니다. 미래 어느 시점에는 토큰을 발행할 수 있지만 명확한 규정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지금은 프로토콜의 경제성과 토큰화가 큰 관심사는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https://coinness.com/

홍콩 20대 암호화폐 투자자 20% “내년에도 투자”

리완추 홍콩 투자자금융교육위원회(IFEC) 총책임자가 최근 현지 언론과 인터뷰에서 지난 4월 위원회가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홍콩 젊은층 투자자 중 20%는 내년에도 암호화폐에 투자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전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올 4월까지 홍콩 전체 인구 중 암호화폐 투자자 비율은 2019년 1%에서 6%로 증가했다. 특히 18~29세의 비율이 늘어났으며 이들 중 20%는 내년에도 암호화폐 투자에 대한 관심을

외신 “그레이스케일, ETH 선물 ETF 신청”

암호화폐 마켓 인사이트 플랫폼 언폴디드(Unfolded)에 따르면 그레이스케일이 이더리움 선물 ETF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그레이스케일의 ETH 선물 ETF 신청은 법원이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신탁(GBTC)를 현물 ETF로 전환하는 신청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반려한 결정을 재검토하라고 판결한 이후에 나왔다. 현재 그레이스케일 외 12개 자산운용사가 ETH 선물 ETF를 신청했으며, 승인되는 경우 오는 10월 출시될 수 있다”고 전했다. https://coinnes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