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꼬코인

Search
Close this search box.

kcs7598

Hello !

ANKO(now) : 111286112🪙

(total) : 111601261🪙

보안업체 “지드래곤 NFT 컬렉션, 취약점 존재..

웹3 보안업체 슈프리머시(Supremacy)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지드래곤의 PEACEMINUSONE(피스마이너스원) NFT 컬렉션은 앞서 알려진 취약점(CVE-2022-38217)이 존재한다. 해커에 악용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앞서 피스마이너스원은 22일(현지시간) BNB 기반 아카이브 오브 피스마이너스원 NFT를 오픈씨에서 판매한다고 밝힌 바 있다.

빗썸, 21일부터 16개 미신고 외국 거래소 대상 입출금 제한

빗썸이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내국인을 대상으로 미신고 불법 영업을 지적받은 16개 가상자산사업자 관련 입출금 제한 조치를 3월 21일부터 시행한다고 공지했다. 빗썸에서 입출금을 제한하는 대상 거래소는 쿠코인(KuCoin), 멕스씨(MEXC), 페멕스(Phemex), 엑스티닷컴(XT.com), 비트루(Bitrue), 지비닷컴(ZB.com), 비트글로벌(Bitglobal), 코인더블유(CoinW), 코인엑스(CoinEX), 에이에이엑스(AAX), 주멕스(ZoomEX), 폴로닉스(Poloniex), 비트엑스(BTCEX), 비티씨씨(BTCC,구 BTC차이나), 디지파이넥스(DigiFinex), 파이넥스(Pionex) 등이다.

WSJ “미국 법무부, 권도형·테라폼랩스 수사 착수”

월스트리트저널이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법무부가 지난해 발생했던 테라USD(UST) 붕괴 사건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고 보도했다. 미디어는 “법무부 산하 미국 연방수사국(FBI)과 뉴욕남부지방검찰청이 테라폼랩스 관계자 전원을 대상으로 대면 질의를 벌였다. 법무부의 수사 범위는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와 테라폼랩스를 기소한 영역과 유사하다. 법무부는 권도형에 대한 고발도 검토 중이다.”고 설명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지난 6일 싱가포르 경찰이 권도형을 대상으로 수사에

서클 “SVB에 준비금 중 33억 달러 보관중”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 서클(Circle)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USDC 준비금 약 400억 달러 가운데 33억 달러가 실리콘밸리은행(SVB)에 보관돼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다른 SVB 고객과 마찬가지로 서클은 규제 당국이 제공하는 지침을 따를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서클은 이날 오전 “SVB는 서클이 현금으로 보유한 USDC 준비금의 약 25%를 관리하는 6개 파트너 중 한 곳일뿐”이라고 밝힌 바 있다.

클린스파크, 2월 576 BTC 채굴…778 BTC 현금화

비트코인 채굴업체 클린스파크(CleanSpark)가 보도자료를 통해 2월 총 576 BTC를 채굴했으며, 올들어 약 1,273 BTC를 채굴했다고 밝혔다. 또 클린스파크는 운영비 충당을 위해 2월 약 778 BTC를 평단가 23,000 달러에 현금화했다. 클린스파크의 2월 보유 해시레이트는 6.6 EH/s를 기록했으며 2월 28일 기준 100 BTC를 보유 중이다.

비탈릭 “모바일 지갑, 단순하고 견고한 UI가 화려함보다 낫다”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ETH) 창시자가 28일(현지시간)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모바일 지갑은 단순하고 견고한 UI(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화려하고 ‘세련된’ UI보다 낫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2021년 아르헨티나의 한 커피숍에서 난 계산을 하려했다. 당시 커피숍에서는 나를 알아보고 이더리움(ETH) 결제를 권했다. 당시 가장 일반적인 암호화폐 결제는 거래소 계정을 통한 자산 이체였다. 하지만 커피값으로 나온 0.003 ETH보다 거래소의 최소 이체 금액인

코인베이스 베이스 출시 후 유사 토큰 다수 생성

코인베이스가 새로운 이더리움 레이어2 블록체인 베이스(Base) 테스트넷을 출시한 이후 최소 4종 이상 유사 토큰이 생성됐다고 블룸버그가 암호화폐 모니터링 업체 솔리더시 랩스 데이터를 인용해 전했다. Base, Base token, Coin Chain 등이다. 이들 토큰은 코인베이스의 베이스와 무관하다. 앞서 코인베이스는 베이스가 토큰이 아니며, 베이스를 위한 새 네트워크 토큰을 발행할 계획도 없다고 강조한 바 있다.

레버파이, 홍콩 시장 진출 계획

레버파이(LEVER)가 IOST와 협력을 통해 홍콩과 중국 시장에 진출한다고 공식 미디엄을 통해 발표했다. 레버파이는 “올해 점진적으로 전반적인 사업을 홍콩으로 이전할 계획이며, 홍콩무역개발위원회와 협력을 통해 사무실을 개설하고, 현지 인재를 고용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유튜브 신임 CEO, 웹3 친화적 인물…과거 NFT 우호 발언”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수잔 워치스키가 떠나고 유튜브의 신임 최고경영자(CEO)로 임명된 인도계 닐 모한(Neal Mohan)은 웹3 친화적 인물”이라고 18일 보도했다. 미디어는 “닐 모한은 과거 NFT가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새로운 수익원이 될 수 있다며, 지난해 유튜브에 콘텐츠의 토큰화 등 기능의 도입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다. 그는 웹3가 크리에이터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블록체인 및 NFT 등 새로운 기술들이

블록파이 “채권자, 청구서 제출 시작”

지난해 11월 챕터11 파산 보호를 신청한 암호화폐 대출업체 블록파이(BlockFi)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채권자들은 오는 4월 31일 17시(현지시간)까지 청구서를 제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사이트를 개설했으며, 채권자는 이를 통해 청구서를 제출하거나, 블록파이 월렛 계정 잔액 공유에 동의할 수 있다. 월렛 계정 잔액 공유에 동의하면 청구서를 따로 제출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로켓풀, ETH 스테이킹 점유율 22% 상한 설정 안건 통과

탈중앙화 이더리움(ETH) 스테이킹 프로토콜 로켓풀(RPL)의 ETH 스테이킹 점유율 22% 상한 설정 투표가 종료됐다. 해당 제안서는 99.55%의 찬성표를 얻어 통과됐다. ETH 네트워크의 탈중앙화와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스테이킹 점유율 규모 상한선을 22%로 설정하고 단일 실패지점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게 목표다.

중국, 블록체인 혁신 위한 연구 센처 출범

비트코이니스트(Bitcoinist)가 차이나 데일리(China Daily) 보고서를 인용, 중국 당국이 블록체인 혁신을 위한 연구 센터를 베이징에 출범한다고 보도했다. 연구 센터는 지역 대학, 전문가, 기업과 협력해 블록체인 기술을 연구할 예정이다. 보고서는 “연구 센터가 중국의 새로운 디지털 인프라를 지원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플랫폼, 검증 네트워크를 포함해 기본적인 블록체인 이론, 핵심 기술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에 중점을 둘 것”이라고

dYdX 보조금 프로그램 재가동 제안 사실상 통과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dYdX(DYDX) 커뮤니티에서 보조금 프로그램(DGP) 재가동 제안에 대한 투표가 약 90%의 찬성률로 사실상 통과된 가운데, 이에 대한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보조금 프로그램은 디파이 커뮤니티 성장과 발전을 목표로 선정된 프로젝트에 최대 $100,000의 보조금이 제공된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일부 커뮤니티 회원들은 “보조금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투명성과 책임감이 결여돼 있다. 과거 보조금 지급 프로젝트에

이번주 비트코인 관전 포인트 TOP5

코인텔레그래프가 이번주 비트코인 가격 동향 관련 주목할 포인트 5가지를 아래와 같이 정리했다. – 코인베이스 기준 BTC 주봉, $23,400 돌파 여부 – 美 연준 인사 주요 연설 및 신규실업수당청구건수 발표 – BTC 채굴자, 매도세 지속…보유량 약 182만개 수준 – 비트코인 NVT 지표 2년래 최대 – 0.1 BTC 이하 보유 월렛 증가세 지속 여부

XRP 기반 콘텐츠 플랫폼 코일, 서비스 중단

XRP 기반 콘텐츠 플랫폼 코일(Coil)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운영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코일 측은 “2018년 코일을 처음 시작할 때 인터레저(Interledger)는 아이디어에 불과했다. 지난 5년 동안 우리는 해당 기술에 생명을 불어넣었다. 인터레저의 향후 발전을 위해 이제는 재단 형태의 중립적인 기구에 이를 넘겨야 할 때이다. 이를 위해 코일은 제품 및 개발을 중단한다”며 “2월 2일부로 코일 멤버십 가입을 중단했다.

CFTC 위원장 “올해 암호화폐 규제 집중..선례 만들어 낼 것”

로스틴 베넘 미국 CFTC(상품선물거래위원회) 위원장이 올해 암호화폐 규제와 관련해 더 많은 집행 선례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 변호사 협회 행사에 참여해 “암호화폐 관련 인력을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산업 내 중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며 “CFTC는 미국 내에서 불법적으로 파생상품을 제공하거나 레버리지, 마진 등 디지털 자산 상품 관련 서비스들에 대해 조치를 취해왔다.

업계 관계자 “프릭션 플랫폼 폐쇄… 내부 분쟁 탓”

솔라나 디파이 프로젝트 프릭션(Friktion)이 프론트엔드를 종료한다고 발표한 가운데, 이러한 결정이 내려진 이유 중에 프로젝트 설립자 간의 의견 불일치도 있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프릭션 측이 내놓은 공식 사유는 비용이 수익을 초과,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했다는 것이다. 프로젝트 측은 “FTX 사태에 따른 불가피한 결과다. FTX는 어려운 시장에서 기업 및 비즈니스에 큰 타격을 입혔다. 우리 경영진이 공동으로 내린 결정이며, 프로젝트

앙고정책

앙꼬 정책이 아무런 공지 없이 수시로 바뀌는데너무 혼란 스럽습니다/모두 우리를 위함이란건 잘 압니다.그래도 일관성 있게 부탁드립니다.앙꼬 없는 세상 이제는 의미 없게 되어 버렸습니다.사랑하는 마음으로 부탁 드립니다.앙꼬로 대박 기원 합니다.화이팅,,,

컴벌랜드 “제네시스 파산 익스포저 없다… 채권자 리스트 오류

제네시스가 챕터 11 파산을 신청한 가운데, 시카고 소재 암호화폐 유동성 공급 업체 컴벌랜드(Cumberland)가 채권자 리스트에 오해의 소지가 있는 잘못된 정보가 포함돼 있다고 전했다. 컴벌랜드는 공식 트위터를 통해 “제네시스 파산 문서에 컴벌랜드가 1800만 달러 채권자로 포함돼 있으나, 이는 잘못된 정보다. 계약 조건에 따라 지난해 11월 16일 현금 담보를 포기, 암호화폐를 청산해 대출 계약을 종료한다고 통보한 바

前 SEC 선임고문 “제미니·제네시스 소송, 규제기관에는 기회”

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선임고문인 하워드 피셔(Howard Fischer)가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SEC가 제미니 및 제네시스를 상대로한 소송을 통해 암호화폐 업계를 선도하는 규제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SEC는 암호화폐 규제 기관으로서 입지를 다지기 위해 노력해 왔다. 제미니 및 제네시스와의 소송이 기관에게 큰 기회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SEC는 제미니와 제네시스를 ‘제미니 언(Earn)’ 서비스와 관련해 미등록 증권

분석 “2024년 반감기 이후 BTC 3.2만 달러 돌파 예측

유명 비트코인 마켓 분석가 플랜B(PlanB)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지난해 11월 비트코인 15,500 달러선이 바닥이었다”며 “2024년 반감기 이후 2025년 강세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한다. 2024년 반감기 때는 32,000 달러 이상을, 2025년 강세장 때는 100,000 달러 이상을 예측한다”고 말했다.

디소, 크로스체인 투자유치 플랫폼 ‘오픈펀드’ 출시

글로브뉴스와이어(globenewswire)에 따르면 웹3 소셜네트워크 전용 레이어1 블록체인 디센트럴라이즈드소셜(DESO, 이하 디소)이 크로스체인 투자 유치 플랫폼 오픈펀드(OpenFund)를 출시했다. 플랫폼은 기업이 토큰을 이용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현재 지원 가능한 토큰은 BTC, ETH, SOL, DeSo, USDC다.

보안업체 “사이버콩즈 트위터·디스코드 해킹…피싱 주의”

블록체인 보안 감사 전문 업체 써틱(CertiK)이 “NFT 프로젝트 사이버콩즈(CyberKongz)의 트위터 계정과 디스코드 서버가 공격 당했다. 무료 에어드랍을 가장한 피싱 사기를 주의해야 하며, 서버가 복구 될 때까지 어떠한 링크도 클릭해서는 안된다”고 밝혔다.